▒▒ 가톨릭교리 ▒▒ /∞가톨릭기본교리 126

16. 어머니신 마리아 / 5. 신앙의 모범이신 마리아

16. 어머니신 마리아 16-5 신앙의 모범이신 마리아 마리아는 신앙의 모범이 됩니다. 마리아의 신앙은 무엇보다도 겸손함과 순종의 덕입니다. 마리아는 당신 자신을 '주님의 종'으로 낮추었습니다. 마리아는 모든 것이 하느님의 은총이 될 수 있도록 자신을 비우고 가난하고 연약한 주님의 종이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루카 1, 38)"고 하느님의 뜻에 순종하였고 , 예리한 칼에 찔리는 듯한 고통의 길을 수락하였습니다. 또한 마리아의 신앙 내용은 온전한 신뢰 행위입니다. 하느님 말씀을 받아들이신 마리아의 이 순종과 신뢰심은 위대하고 꾸밈없는 신앙입니다. 마리아의 품으로 표현되는 교회의 모든 자녀들은 마리아의 이 신앙을 본받도록 노력해야 ..

16. 어머니신 마리아 / 4.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

16. 어머니신 마리아 16-4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 1)원죄없이 잉태되신 분(성모 무염시태) 하느님의 어머니로 간택된 마리아이시기 때문에 잉태의 순간부터 죄의 물듦 없이 잉태되는 은총을 받았습니다. 마리아가 원죄없이 태어남은 예수님의 구원 은총을 미리 입은 것으로 교회는 1854년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이 교리가 선포된 이후 해마다 12월 8일에 원죄없이 잉태되신 성모를 기념합니다. 2)동정녀로서 아기를 낳으심 동정녀 마리아는 교회가 아주 처음부터 가르쳐 온 신앙의 교리입니다. 마리아가 동정녀의 몸으로 예수님을 잉태한 것은 성령의 힘으로 성취된 것이며, 동정녀의 출산은 하느님의 아들이 새로운 인간의 육체로 태어난 새로운 창조행위로써 특별한 하느님의 은총이 개입한 것입니다. 따라서 하느님의 어머니가 동..

16. 어머니신 마리아 / 3. 교회의 신앙

16. 어머니신 마리아 16-3 교회의 신앙 1)하느님의 어머니 마리아에게서 태어나신 예수님은 바로 하느님과 똑같은 분이셨습니다. 그 분은 하느님의 권능으로 태어나신 하느님의 아들이십니다(루카 1, 35). 동시에 그 분은 우리와 똑같은 인간이시기도 합니다. 따라서 마리아는 단지 인간인 예수님만을 낳은 것이 아니라 천주성과 인성(人性)이 완전히 일치되어 계신 분을 낳은 것이며, 예수님의 인성이 이미 그 분의 신성에 일치를 이루고 있으므로 교회는 마리아가 하느님의 어머니가 된다고 431년 에페소 공의회에서 선포하셨습니다. 즉 유일하신 하느님 아버지의 아들이신 말씀을 잉태하셨기 때문에 마리아는 하느님의 모친이 됩니다. 2)교회의 어머니 루카와 요한의 복음서는 마리아가 교회 안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

16. 어머니신 마리아 / 2.예수님의 어머니

16. 어머니신 마리아 16-2 예수님의 어머니 천사의 말을 듣고 고심하던 마리아가 그 메시지를 완전히 이해하고 나서 자신의 자유로운 승낙으로써 하느님의 뜻을 받아들였습니다. 예수님을 낳으신 후에 마리아는 세상의 모든 어머니와 같이 어머니로서의 당신 소임을 시작하셨습니다. 그 소임은 바로 예수님을 양육하는 일이었습니다. 마리아는 어린 예수님을 성전에 모시고 가서 하느님께 봉헌하였으며(루카 2, 22-38), 예수님께서 열 두 살이 되셨을 때 해방절 축제를 보내기 위해 예루살렘에 올라갔다가 예수님을 잃어버리고는 무척 고생하셨습니다(루카 2, 48). 예수님께서 성장하여 어른이 되었을 때 마리아는 어머니로서 항상 뒤에 남아 있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전교 활동을 하실 때에도, 죽음과 이별의 고통을 함께 맛보셔야..

16. 어머니신 마리아 / 1.메시아와 마리아

1.메시아와 마리아 16-1 메시아와 마리아 신약성경에서는 마리아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복음사가들이 자신들이 선포해야 할 중심 내용은 예수님께서 선포하신 복음이라고 이해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신약성경이 전하고 있는 마리아에 대한 사적은 매우 심오하고 깊은 뜻을 품고 있습니다. 4복음서 중에 루카복음은 마리아에 대해 비교적 자세히 묘사하고 있습니다. 루카복음서의 첫 부분에서 마리아를 주인공으로 묘사하지만(루카 1, 26-38) 그 이야기는 예수님의 탄생을 예고하는 것으로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 오신 것이 바로 하느님 은총이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여기에 등장하는 천사 가브리엘은 마리아에게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님께서 너와 함께 계시다(루카 1,..

15.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 / 6. 요한의 죽음

15.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 15-6 요한의 죽음 영주 헤로데는 자기 동생의 아내 헤로디아를 아내로 맞아들인 일과 그 밖의 온갖 잘못을 들어 자기를 책망했다고 하여 요한을 감옥에 가두었습니다(루카 3, 19-20). 헤로데의 생일 잔치가 벌어졌는데 헤로디아의 딸이 잔치 손님들 앞에서 춤을 추어 헤로데를 매우 기쁘게 해 주었습니다. 그래서 헤로데는 소녀에게 무엇이든지 청하는 대로 주겠다고 맹세하며 약속하였습니다. 그러자 소녀는 제 어미가 시키는 대로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쟁반에 담아서 가져다 주십시오"하고 청하였습니다. 왕은 마음이 몹시 괴로웠지만 이미 맹세한 바도 있고 또 손님들이 보는 앞이어서 소녀의 청대로 해 주라는 명령을 내리고 사람을 보내어 감옥에 있는 요한의 목을 베어 오게 하였습니다. ..

15.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 / 6. 요한의 죽음

15.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 15-6 요한의 죽음 영주 헤로데는 자기 동생의 아내 헤로디아를 아내로 맞아들인 일과 그 밖의 온갖 잘못을 들어 자기를 책망했다고 하여 요한을 감옥에 가두었습니다(루카 3, 19-20). 헤로데의 생일 잔치가 벌어졌는데 헤로디아의 딸이 잔치 손님들 앞에서 춤을 추어 헤로데를 매우 기쁘게 해 주었습니다. 그래서 헤로데는 소녀에게 무엇이든지 청하는 대로 주겠다고 맹세하며 약속하였습니다. 그러자 소녀는 제 어미가 시키는 대로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쟁반에 담아서 가져다 주십시오"하고 청하였습니다. 왕은 마음이 몹시 괴로웠지만 이미 맹세한 바도 있고 또 손님들이 보는 앞이어서 소녀의 청대로 해 주라는 명령을 내리고 사람을 보내어 감옥에 있는 요한의 목을 베어 오게 하였습니다. ..

15.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 / 5. 선구자 요한의 삶

15.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 15-5 선구자 요한의 삶 세례자 요한은 이렇게 예수 그리스도께서 공생활을 시작하실 때까지 그 분의 길을 예비하였습니다. 그리고 그가 광야에서 외친 선포를 듣고, 온 유다 지방과 예루살렘에 사는 모든 사람이 그에게 와서 죄를 고백하고 세례를 받았습니다(마르 1, 4-5). 이렇듯 온 유다인이 그의 말을 온전히 신뢰하여 그의 뜻대로 했다는 것을 보면 세례자 요한에 대한 존경심이 어느 정도였나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제 요한의 인품을 좀더 체계적으로 살펴보면서 참된 신앙인의 자세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첫째 : 요한은 자기 자신을 다스렸습니다. 그는 광야에서 낙타 털옷을 입고 허리에 가죽띠를 두르고 메뚜기와 들꿀을 먹고 살면서(마르 1, 6) 엄격한 극기 생활을 했고 주님의..

15.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 / 4. 새 시대

15.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 15-4 새 시대 세례자 요한은 광야에서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루카 3, 2) 자기의 일생이 하느님께 속하여 있다는 것을 깨달았으며 몸과 마음이 날로 자라났습니다(루카 1, 80). 그러던 중에 하느님께서 결정하신 때가 되자 그는 드러나게 남을 가르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의 설교는 회개(悔改)를 강조한 것으로 마음과 삶을 개혁하라는 것이며 요한은 회개의 표시로 세례를 베풀었습니다. 그래서 회개한 이들이 많았으며 사람들 대부분은 요한을 자신들이 기다리던 구세주인 줄 생각할 만큼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요한은 '자기는 하나의 선구자로서 자기보다 후에 오시는 분이야말로 참된 구세주이시며, 자기는 그분의 신발 끈을 풀기도 합당치 못한 자(사도 13, 26)'라고 하며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