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궁굼하다] 재의 수요일이란? [이것이 궁굼하다] 재의 수요일이란? 재를 머리에 얹는 예식의 의미 재의 수요일은 사순 시기 첫날로 사순 제1주일 전(前) 수요일을 말한다. 사순 시기는 본래 40일을 의미하는 라틴말 ‘콰드라제시마’(Quadragesima)에서 나온 말로 성경에서 40은 ‘고행의 시기’ ‘시련의 시기’를 뜻한다. .. ▒▒ 가톨릭교리 ▒▒ /∞가톨릭교리해설 2020.03.01
[교회법] 대재(大齋)와 소재(小齋) [교회법] 대재(大齋)와 소재(小齋) 수난에 동참하고 보속하는 정신으로 지켜야 외형적 준수 뿐만 아니라 그 의미 살아가는 것 중요 가난한 이웃 위해 나눠야 ◈ 과거에 금요일에 고기를 먹는 것은 소재(小齋)라고 하였고, 단식을 하는 것을 대재(大齋)라고 여겨졌지만, 지금은 별로 중요하.. ▒▒ 가톨릭교리 ▒▒ /∞가톨릭교리해설 2020.02.28
[이것이 궁굼해요] 왜 성모상 앞에서 인사하고 기도하는가? 왜 성모상 앞에서 인사하고 기도하는가? 개신교 신자들은 우리 가톨릭 신자들의 성모님 공경에 대하여 못마땅해 하고 여러 가지로 비판을 가하며 질문을 던지기 일쑤이다. 개신교 신자들이 던지는 몇 가지 질문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출애굽기 20장 5절에 보면 "우상 앞에서 절하며 .. ▒▒ 가톨릭교리 ▒▒ /∞가톨릭교리해설 2020.02.27
8.신들의 세계 /3. 하느님의 이름들 8.신들의 세계 8-3 하느님의 이름들 한 분이신 하느님을 부르는 이름이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야훼, 엘로 힘, 아도나이, 성부, 성자, 성령, 메시아, 그리스도, 하느님) 이러한 하느님의 이름들은 한 분이신 참된 하느님을 구원의 측면에서 표현한 것입니다. 참된 하느님의 계시를 올바로 받.. ▒▒ 가톨릭교리 ▒▒ /∞가톨릭기본교리 2020.02.25
[가톨릭정보] 거꾸로 짚어 보는 재(灰)의 길 거꾸로 짚어 보는 재(灰)의 길 인간 근원 되새기며 ‘참회’와 ‘단련’의 길로 이끌어 푸른 가지가 재로 변하기까지 수난과 죽음 묵상하도록 도와 재의 수요일, 머리에 재가 얹어지면, 신자들은 ‘사순 시기에 들었음’을 실감한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사.. ▒▒ 가톨릭교리 ▒▒ /∞가톨릭교리해설 2020.02.25
[교회교리] 58. 저승에 가신 예수 [교회교리] 58. 저승에 가신 예수. 「가톨릭 교회 교리서」 631~637항 그리스도께서 저승에 가심은 복음선포의 참 의미 묵상하게 한다 구원의 복음을 선포하기 위해 목숨 내어놓고 내려가신 지옥 죽음 받아들인 예수 기억하며 그리스도인의 소명 되새겨야 플라톤은 ‘동굴의 비유’를 통해 .. ▒▒ 가톨릭교리 ▒▒ /∞가톨릭교회교리 2020.02.23
[사회교리] 58. 노인에게 희망을!-오해와 미움 넘어 인간다운 대화와 사랑의 노력으로 [사회교리] 58. 노인에게 희망을!오해와 미움 넘어 인간다운 대화와 사랑의 노력으로 「간추린 사회교리」 222항 노인을 공동체의 협력자로 받아들이고 있는가? 노인문제는 한국사회의 민낯 경제중심적 사회구조 드러내 효율성만으로 판단할 수 없는 문화·도덕적 가치와 역할 살펴야 ■ .. ▒▒ 가톨릭교리 ▒▒ /∞가톨릭사회교리 2020.02.23
8.신들의 세계 / 2, 창조주 하느님과 다른 신들 8.신들의 세계 8-2 창조주 하느님과 다른 신들 구약 시대부터 이스라엘 민족들은 한 분이신 야훼 하느님을 섬겨 왔습니다. 그리고 주변 세계의 이교도들도 다른 신들을 모시고 있음을 부인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인들이 강조하는 것은 바로 야훼 하느님만이 참된 신이시며 우.. ▒▒ 가톨릭교리 ▒▒ /∞가톨릭기본교리 2020.02.21
[사회교리] 57. 노인에게 희망을! / 어르신들의 마음 헤아리기 [사회교리] 57. 노인에게 희망을! 어르신들의 마음 헤아리기「간추린 사회교리」 222항 누구나 늙는다…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부터 바꾸자 노인빈곤율 높고 복지정책 미비…사회문제 넘어 혐오로도 이어져 노인들의 처지에 대한 이해와 자식들의 사랑이 가장 큰 힘 ■ 급격한 고령화의.. ▒▒ 가톨릭교리 ▒▒ /∞가톨릭사회교리 2020.02.16
[교회교리] 57. 성 토요일 [교회교리] 57. 성 토요일 「가톨릭 교회 교리서」 624~630항 성 토요일 신비는 창조주 하느님의 안식을 묵상하게 한다 참된 안식에 들기 위해서는 하느님 창조사업에 동참해야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고 영혼을 구하는 일이 곧 창조 예수님의 제자들이 안식일에 밀밭에서 밀 이삭을 뜯.. ▒▒ 가톨릭교리 ▒▒ /∞가톨릭교회교리 2020.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