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신들의 세계 / 1.신과 세계 8.신들의 세계 8-1 신과 세계 "나 이제 물을터이니 알거든 대답해 보아라. 내가 땅의 기초를 놓을 때 너는 어디에 있었느냐? 그 때 새벽별들이 떨쳐나와 노래를 부르고 모든 하늘의 천사들이 나와서 합창을 불렀는데… (욥 38, 3, 4, 7)" 우리는 세계 안에서 여러가지 사물들과 관계를 맺으며 .. ▒▒ 가톨릭교리 ▒▒ /∞가톨릭기본교리 2020.02.14
[교회법] 대부와 대모란? [교회법] 대부와 대모란? ‘신앙생활 모범 보이고 영적 성장 도와야 예비신자가 복음 실천하도록 영성적으로 성숙한 사람이어야 입문성사 거친 만16세 이상 부모는 불가능… 친척 가능 ◆ 요새 본당 세례식에서 대부나 대모를 정하기가 어려운 경우들이 발생합니다. 세례 받을 때에 대부.. ▒▒ 가톨릭교리 ▒▒ /∞가톨릭교리해설 2020.02.13
[교회교리] 56. 주님의 피 [교회교리] 56. 주님의 피 「가톨릭 교회 교리서」 606~623항 그리스도의 죽음은 인간 죄의 보속을 위한 희생제사 인간 죄 대속하려 흘리신 피는 우리를 용서하신다는 약속이며 서로 용서해야한다는 계약의 피 인류의 속량 완성하는 희생제사 1882년 프레드릭 카벤다쉬와 토마스 버크를 찔러.. ▒▒ 가톨릭교리 ▒▒ /∞가톨릭교회교리 2020.02.06
[사회교리] 56. 청년들에게 희망을!-격려와 사랑의 보금자리로서 교회 [사회교리] 56. 청년들에게 희망을!-격려와 사랑의 보금자리로서 교회- 교회서 존중 받지 못한 청년들 권위적인 대화 구조에 지치기도 청년의 주체적 활동 보장하는 친구같은 교회로 탈바꿈해야 ■ 성당에 청년이 없어요! 본당 청년 담당 신부님들은 고민이 많습니다. 많은 본당에서 청년.. ▒▒ 가톨릭교리 ▒▒ /∞가톨릭사회교리 2020.02.06
[교회법] 교황 주일이란? [교회법] 교황 주일이란? ‘그리스도의 대리자’ 위해 기도하고 일치 이뤄 베드로 사도의 후계자인 교황, 초기엔 로마 사제·신자가 선출 1261년부터 ‘봉쇄 선거 회합’ 방식으로 추기경들이 뽑아 교황 주일 미사 봉헌금은 전 세계 어려운 이 돕는데 사용 ◆ 6월 30일은 교황 주일이라고 .. ▒▒ 가톨릭교리 ▒▒ /∞가톨릭교리해설 2020.02.05
◆ 8.신들의 세계 8. 신들의 세계 8. 신들의 세계 1. 신과 세계 2. 창조주 하느님과 다른 신들 3. 하느님의 이름들 4. 여러 종교의 신들 5. 신들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 6. 영적인 실체들 7. 기타 잡신들 ▒▒ 가톨릭교리 ▒▒ /∞가톨릭기본교리 2020.02.04
[교회법] 환속사제란? [교회법] 환속사제란? 의도적으로 신앙 거부한 사람이나 비신자 안 돼 성직자 신분 상실해도 평신도로 돌아갈 순 없어 ◆ 가끔 신부님들이 사제의 길을 떠나 환속을 하는 경우들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환속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되는 것인지요? 환속을 하면 혼인성사를 받을 수 있는지요? .. ▒▒ 가톨릭교리 ▒▒ /∞가톨릭교회교리 2020.02.03
[교회상식] 십자성호 긋는 법 [교회상식] (십자성호 긋는 법) ▲십자성호를 긋고 있는 사람들. (이미지 출처 = en.wikipedia.org) 십자성호 긋는 법을 모르는 분은 안 계실 겁니다. 성호를 그으면서 바치는 성호경은 가톨릭에 입문하는 모든 이가 가장 먼저 배우는 기도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십자성호는 우리가 흔히 아는 .. ▒▒ 가톨릭교리 ▒▒ /∞가톨릭교리해설 2020.02.03
[교회법] 장례식(성당에서 장례식이 허가되는 경우와 허가될 수 없는 경우) [교회법] 장례식 (성당에서 장례식이 허가되는 경우와 허가될 수 없는 경우) 의도적으로 신앙 거부한 사람이나 비신자 안 돼 교회 공동체에서 신앙생활한 신자 또는 예비신자 허용 신자임을 거부하는 배교자나 교황에게 순종하지 않는 이, 공개적인 죄인도 할 수 없어, ◆ 성당에서 장례.. ▒▒ 가톨릭교리 ▒▒ /∞가톨릭교리해설 2020.02.01
[사회 교리] 55. 청년들에게 희망을! - 역지사지, 포용과 격려 [사회교리] 55. 청년들에게 희망을! 역지사지, 포용과 격려 「간추린 사회교리」 62항 인간존엄 가치 회복돼야 청년 문제 해결도 가능. 청년 위한 공약 내세운 정치권. 청년들에 대한 존중감 토대로 다각적으로 청년 문제 조명해야. 사회적 불신 인식 개선도 시급. “나, 지금까지 진짜로 열.. ▒▒ 가톨릭교리 ▒▒ /∞가톨릭사회교리 2020.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