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교구 / 묘재(학산 공소)
순교자 남상교와 성 남종삼 부자의 신앙이 서려 있는 곳
한국의 카타콤바라 할 만한 배론 사적지에서 산 하나를 넘어서면 병인년 서소문 밖에서 치명한성 남종삼(南鐘三, 1817-1866년)이 살던 묘재가 있다. 이 곳은 1백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남종삼 성인과 그 부친 남상교(南尙敎, 1784-1866년) 부자의 뜨거운 신앙과 애끊는 육친의 정이 넘쳐흐른다.
▲묘재 남상교 유택 입구와 표지석
남종삼 성인은 103위 한국 성인 중에서 가장 높은 벼슬에 오른 분이다. 원래 생부는 남원교이나 어려서 종숙부인 남상교 슬하에 아들이 없자 그에게 양자로 갔다. 남상교가 진사시에 급제하고 벼슬길에 올라 충주 목사 등을 역임하게 되자 남종삼은 부친의 부임지를 따라다니며 글공부를 했다.
그가 언제 입교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1860년 무렵으로 보인다. 한양에 사는 이윤일의 집에 가서 베르뇌 주교, 다블뤼 신부등을 만나고 서학에 관한 책을 얻어 읽은 그는 천주학의 오묘한 진리에 탄복해 영세를 했다. 그의 입교 후 가족들도 모두 천주교를 신봉하는데 아버지 남상교는 신앙에만 전념하고자 묘재로 이사해 은거 생활을 하게 된다. 그는 바로 이곳에서 1866년 병인박해 때 공주로 유배되어 순교할 때까지 아들 남종삼이 찾아오면 가르침을 베풀며 신앙과 조국애를 일깨운다.
▲ 성 남종삼 요한상
높은 학문을 성취한 남종삼은 일찍이 과거에 급제해 지방 장관을 거쳐 철종 때에는 승지 벼슬에 오르고 고종 초에는 왕족의 자제를 가르치기에 이른다. 그는 당시 부패된 관리들 중에서 유일하게 청백리로 의덕과 겸손의 가난한 생활을 함으로써 모든 이들에게 존경을 받는다.
그러나 그는 동료 관리들에게는 시기와 질시의 대상이 되는 한편 향교 제사 문제로 신앙과 관직의 두 가지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해야 했고 당연하게도 관리직을 내놓았다. 남씨 부자의 묘재 정착은 평소에 상종하던 이들과의 생활 풍습이 신앙 계명을 지키는 데 어려움을 초래했기 때문으로, 남씨 부자에게는 높은 벼슬, 명예와 권세, 안락한 생활 등 양반으로 누릴수 있는 영화와 특권을 스스로 끊어 버린 일대 결단이었다.
▲ 학산 공소 성모자상
철종이 죽고 고종이 즉위하던 1863년 말경, 대원군이 정권을 잡으면서 남종삼은 좌승지로 발탁되어 다시 임금 앞에서 경서를 논했다. 그 때에 두만강을 사이에 둔 러시아가 수시로 우리나라를 침범하면서 통상을 요구 했다. 조야는 어찌할 줄 모르던 차에 남종삼은 "이이제이 방아책(以夷制夷防我策)"이라 하여 국내의 프랑스 주교를 통해 한불 수교를 맺고 서양의 세력을 이용해 러시아를 물리칠 것을 건의했다.
대원군은 그의 건의를 쾌히 받아들였으며 베르뇌 주교와 다블뤼 부주교가 모두 황해도와 충청도에서 전교 여행 중이어서 약속 시간 내에 찾아내지 못했고 대원군의 초조는 분노로 바뀌었다. 얼마 후 두 주교가 서울에 들어왔을 때 이미 때는 늦어 대원군은 정권 유지의 간계로 천주교 박해를 결심했던 터였다.
남 승지는 일이 그르친 것을 깨닫고 묘재로 내려가 부친에게 이런 사실을 알렸다. 남상교는 그의 말을 듣고 "너는 천주교를 위해 충(忠)을 다하였으나 그로 말미암아 너의 신명(身命)을 잃게 되었으니 앞으로 악형을 당하더라도 성교(聖敎)를 욕되게 하는 언동을 삼가라."고 가르쳤다.
부친의 준엄한 가르침을 받은 남 승지는 치명을 각오하고 배론 신학당을 찾아 푸르티에 신부, 프티니콜라 신부로부터 성사를 받고 한양으로 향했다. 이미 한양으로부터 체포령이 떨어져 있던 그는 결국 한양을 채 못 들어와 고양군 축베더리 마을이라는 곳에서 붙잡히고 의금부로 끌려가 홍봉주, 이선이, 최형, 정의배, 전장운, 그리고 베르뇌, 다블뤼 주교와 함께 병인년 3월 7일 서소문 밖 네거리에서 참수된다.
부친 남상교도 붙잡혀 공주로, 장자 규희는 전주로 유배되어 순교하고 처 이소사, 차남 명희와 두 딸은 경상도 창녕으로 유배되어 노비생활을 하게 된다. 그 후 이소사도 창녕에서 순교하니 3대에 걸쳐 4명이 순교한 셈이다. 남종삼 요한은 1984년 시성되었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사진출처 : 오영환, 한국의 성지 - http://www.paxkorea.co.kr, 2005]
|
'▒▒ 여행♡공간 ▒▒ > ∞·성지♡성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랑스런 신앙유산(信仰遺産)] 합덕성당 (0) | 2020.10.23 |
---|---|
[자랑스런 신앙유산(信仰遺産)] 서울대교구 / 한국 천주교회 첫 세례식 터 (0) | 2020.10.20 |
[자랑스런 신앙유산(信仰遺産)] 대전교구 / 여사울 (0) | 2020.09.09 |
[믿음의 고향(故鄕)을 찾아] 전주교구 / 개갑(최여겸 마티아 순교지) (0) | 2020.08.25 |
[믿음의 고향(故鄕)을 찾아] 춘천교구 / 강릉 대도호부 관아 (0) | 2020.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