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행♡공간 ▒▒/∞·오늘의성인

10월 4일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Berardus 2021. 10. 3. 18:52
 

성 프란치스코의 임종

10월  4일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St.FRANCIS of Assisi
San Francesco d’Assisi Patrono d’Italia

Assisi, 1182 - Assisi, la sera del 3 ottobre 1226
(1181 at Assisi, Umbria, Italy as Francis Bernardone
-4 October 1226 at Portiuncula, Italy)
Canonized:1228 by Pope Gregory IX

10월 4일은 우리 사부 성 프란치스코께서 귀천하신 날이기에

 10월에 포르치운쿨라 대성당에 그려져 있는 성 프란치스코의 임종 모습을 넣었습니다.
첼라노는 성 프란치스코의 죽음에 대해 이렇게 전하고 있습니다:
“중병으로 쇠잔하여 모진 고통을 당하며 죽음에까지 다다르자,

그는 자신을 알몸으로 맨땅에 눕히게 하였다... 그렇게 땅바닥에 뉘어진 채 그는 거칠은 옷을 벗고
습관대로 얼굴을 하늘로 향하였다. 그의 온 신경을 하늘의 영광에 쏟으며,
그는 오른쪽 옆구리의 상처를 왼손으로 감싸서 보이지 않게 하였다.
그리고 그는 형제들에게 말하였다: ‘나는 내가 할 일을 마쳤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여러분들이 할 일을 가르쳐 주시기를 빕니다.’”(첼라노 제 2생애 216항).
“형제들이 오열하였고, 위로할 길 없는 신음에 빠져 있는 동안에,
거룩하신 사부님은 그에게 빵을 가져오게 하였다.

그가 강복을 하고 빵을 떼어 작은 조각들을 각 형제들에게 먹으라고 나누어 주었다.
복음서도 가지고 오게 하여 요한복음을 ‘과월절을 하루 앞두고’부터 읽으라고 하였다.
그럼으로써 그는 주께서 그의 제자들과 최후의 만찬으로 거행하신
 지극히 거룩한 만찬을 경건히 되새기며 자기 형제들에게 지니고 있던 깊은 사랑을 보였다.
그는 죽음이 얼마 남지 않은 며칠 동안을, 그가 그토록 사랑했던 동료들에게
 자기와 함께 그리스도를 찬미하자고 가르치며 찬미로 보냈다.
그가 온 힘을 다하여 다음 시편을 노래하였다:
‘목소리 높히어 주께 부르짖나이다. 소리소리 지르며 주께 비옵나이다.’
그는 모든 피조물에게 권유하여 하느님을 찬미하게 하였고,
 전에 그가 지은 노래를 빌어 하느님을 사랑하도록 그들을 열심히 일깨웠다.
 
그는 누구에게나 소름끼치는 일이고 저주스럽기만한 일인 죽음 그것을 찬미하도록 하였고,
죽음을 기쁘게 맞이하기 위하여 자기 안에 죽음이 머물도록 초대하였다:
‘나의 자매 죽음이여, 어서 오십시오.’”(첼라노 제 2생애 217항).

"주님이 다른 사람을 통하여 말씀해 주시고 이루어 주시는 선보다
자기를 통하여 말씀해 주시고 이루어 주시는 선을
더 많이 자랑하지 않는 그런 종은 복됩니다."(권고17)

 

복되신 프란치스코의 유언(1-5)

1) 주님이 나 프란치스꼬 형제에게 이렇게 회개생활을 시작하도록 해 주셨습니다 :
내가 죄중에 있었기에 나병환자들을 보는 것이 나에게는 너무나 역겨운 일이었습니다.
2) 그런데 주님 친히 나를 그들에게 데리고 가셨고 나는 그들 가운데서 자비를 베풀었습니다.
3) 그래서 내가 그들한테서 떠나올 때에는 역겨웠던 바로 그것이 내게 있어
몸과 마음의 단맛으로 변했습니다.
그리고 그 후 얼마 있다가 나는 세속을 떠났습니다.
4) 그리고 주님이 성당에 대한 크나큰 신앙심을 주셨기에,
다음과 같은 말로 단순하게 기도하곤 했습니다:
5) 주 예수 그리스도여, 당신의 거룩한 십자가로써 세상을 구속하셨사오니,
우리는 여기와 전 세계에 있는 당신의 모든 성당에서
주님을 흠숭하며 찬양하나이다.
THE SAN DAMIANO CROSS

가난하시고 겸손하시며 십자가에 못박히신 그리스도
프란치스꼬의 시대는 교황권이 절대적인 경지에 오른 시기였고
 따라서 교회의 입장에서는 황금기인 시대였다.
지상의 왕권은 교황권에 예속되어 있었다.
이 시대를 풍미한 그리스도관은 부활,승천하셔서 전능하신 하느님 오른 편에 앉아계시면서
지상의 대리자를 통해 통치하시고, 영광중에 재림하시어 심판하실 왕이라는 것이었다.
따라서 교회는 그리스도를 대신해서 세상을 통치하고,
 
 세속의 권세는 영적인 권세인 교황에 굴복해야만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프란치스꼬가 복음서를 통해서 발견한 그리스도는
 그와 정반대되는 모습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스도는 가난하시고 겸손하시며 십자가에 못박히신 분 이라는 것이다.
 바로 그것을 통해 그리스도는 우리를 구원하셨다는 것이다.
따라서 프란치스꼬와 그의 제자들이 따르게 될
그리스도는 영광의 그리스도가 아니라 가난하게 사셨고
 겸손하게 사셨으며
결국 우리의 구원을 위해 십자가에 벌거벗은 채로 못박히셨던 그 그리스도인 것이다.
이러한 그리스도관은 교회와 모든 크리스챤에게 회개를 거듭 요청하게 된다.
 
성 프란치스코를 청빈과 겸손으로 그리스도와 같아지게 하신 하느님,
저희도 그의 길을 따라 성자를 닮으며 진정한 사랑으로 당신과 결합되게 하소서.


 

하느님의 인간의 사랑에 대한 크나큰 사랑에 감동되어 우시는 성 프란치스코


프란치스코 성인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를 무척이나 사랑하신
그분의 사랑을 한 없이 사랑해야 합니다.”(첼라노 제 2생애 196항).
첼라노는 또 이렇게 전하고 있습니다: “그는 자기 눈앞에 어른거리는 듯
그리스도와 수난을 큰 소리로 외치고 슬퍼하며 울음을 그칠 날이 없었다.
그는 그리스도의 상처를 기억하느라 길거리를 한 숨으로 채웠고, 어떤 위로도 마다하였다.
절친한 친구 하나를 만나 그에게 자기가 슬퍼하는 이유를 알리자,
 
이내 그의 친구도 비참한 마음이 들어 눈을 글썽였다.”(첼라노 2생애 11항).
이 그림은 그렉치오 성당에 그려진 그림입니다.

"우리가 자랑할 수 있는 것은 곧 우리의 연약함이며,
매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지는 일입니다."(권고5)
 

 

작음과 형제애의 영성

프란치스꼬회의 공식명칭은 "작은 형제회"(Ordo Fratrum Minorum)이다.
이 명칭은 바로 프란치스칸 영성을 요약해 주고 있다.
작음(minoritas)과 형제애(fraternitas)를 바탕으로해서 복음적 삶을 영위한다는 것이다.

이 작음의 정신은 그 안에 가난과 겸손이라는 덕목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작은형제들은 가난하시고 겸손하신
그리스도의 제자들로서의 삶을 본질적인 것으로 여기고 있다.
그래서 실제로 가난한 자가 되고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과 하나가 되며
그들로부터 복음화되고 복음화시키는 것을 자신들의 정체성으로 인식한다.
또한 가난한 자들처럼 일과 노동을 통해 땀흘려 일하고 소박하고 단순한 생활을 영위하며
모든 것을 가난한 이들처럼 하느님께 신뢰하며 복음적 불안정의 삶을 살아간다.
이렇게 일과 노동은 생계유지의 제일차적인 수단이며 나머지는
 
 하느님의 자비하심에 의존하며 그분이 보내주는 은인들의 애긍을 통해서 살아가게 된다. 
 형제애의 정신은 사랑과 순종을 전제로 한다.
프란치스꼬는 수도회 개념보다는 형제회 개념을 더 중시하였다.
우리 모두는 맏형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모두가 한 형제들이라는 것이다.
이 형제애는 "어머니가 자식을 기르고 돌보는 이상으로 형제들 상호간에 기르고 돌보는 정신"이다.
이러한 형제애는 가난 안에서도 기쁨이 넘치는 공동체를 가능케 한다.
형제 상호간의 사랑과 애정어린 순종은 기쁨의 영성을
프란치스칸 영성의 특징적인 요소로 부각시켜 준다.
이렇게 공동체 안에서 체험되는 형제애는 신분계급 여하를 막론하고 모든 이에게로 확장된다.
선인이든 악인이든 크리스챤이든 이교도이든 원수이든 강도이든 성한 사람이든
 
 병자들이든 모든 이가 한 아버지 하느님의 자녀로서 받아들이도록 해 준다.
더 나아가 프란치스꼬가 그랬듯이
이 형제애는 자연과 우주 만물에 대한 사랑으로 더욱더 확장된다.
바로 우주적인 형제애, 만인의 형제가 되는 것이 프란치스칸 형제애의 본질이다.
 
-작은형제회홈에서 www.ofm.or.kr-
 

Stigmatization of St Francis - GIOTTO di Bondone
1300.Tempera on wood, 314 x 162 cm.Musee du Louvre, Paris



1224년 9월 프란치스꼬는 라 베르나 산에서 오상(五傷)을 받았다.
이제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의 살아있는 상(像)이 된 그는,
 몸이 몹시 불편했지만 여전히 이탈리아 중부 지방을 두루 돌아다녔으며,
가는 곳마다 공경과 성인으로 칭송을 받았다.
1226년 봄 그가 시에나에 있을 때 그는 자신이 죽어가고 있음을 느끼고
 마지막 바람의 간곡한 당부를 받아쓰게 했다.
그는 모든 형제들이 그들 가운데서는 사랑을, 가난 부인에게는 충실을, 교회의
 고위 장상들과 성직자들에게는 존경과 순종을 실천하라고 역설하며 그들을 축복했다.

성인의 원의에 따라 형제들이
프란치스꼬를 형제회의 요람이라 할 뽀르찌운꿀라로 모셔갔다.
바로 여기에서 프란치스꼬는 그가 내용을 보충한 마지막 유언을 받아쓰게 했고,
그 본문은 타인의 문학적 수정 없이 프란치스꼬의 언어 그대로 전해지고 있다.
이 유언은 무엇보다도 자신의 회개와 복음적 소명에 대해 주님께 드리는 뜨거운 감사이며,
지극히 높으신 분이 친히 홀로 형제회를 창설하셨다는 확인이었다.
그는 초창기의 완전한 가난, 단순, 겸손을 회상하며 특히 육체 노동에 대한 기쁨을 회상하였고,
모든 형제들이 어떤 일에든 종사하고 일할 줄 모르는 형제는 일을 배우기를 원하였다.
애긍은 일이 충분한 보수를 받지 못할 때 마지막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죽음에 임박하여 간곡하고 전에 없이 엄하게 당부들을 하였지만 그는 자신이
또 하나의 회칙을 추가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끝맺고 있다.

하고 싶은 말을 마치고 그는 요한 복음의 수난기를 읽어 달라 하여 들은 뒤,
천사들의 인도로 형제들을 떠나 주님께로 옮겨갔다.
프란치스꼬는 1226년 10월 3일 저녁에 뽀르찌운꿀라에서 임종했다.
2년 뒤 1228년 7월 16일 교황 그레고리오 9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성 프란치스꼬의 유해는 성 지오르지오(Giorgio) 성당에 잠시 묻혔다가,
1230년에 지금의 프란치스꼬 대성당으로 이장되었다.

성 프란치스꼬의 거룩한 상흔 축일:9월17일(인창동성당게시판1369번)
San Francesco d’Assisi, Impressione delle Stimmat

St Francis in Ecstasy-BELLINI, Giovanni 
  1480-85.Oil on panel, 120 x 137 cm.Frick Collection, New Yor


10월  4일
우리 사부 세라핌적 성 프란치스코,부제, 세 수도회의 창설자,
대축일

 
1181(l182?)년 아씨시에서 태어났다.
 성인은 청년 시절의 가벼운 생활에서 마음을 돌이켜 재산을 가난한 이에게 나누어 주었기 때문에
 아버지로부터 상속권을 박탈당했다.
가난을 포옹하고 복음적 생활을 영위하면서 만민에게 하느님의 사랑을 설파했다.
뜻을 같이 하는 형제들이 모여와 작은형제회가 시작되었다.
클라라 관상 수녀회와 재속회를 세우고 이교인들 가운데 복음을 전했다.
성인으로부터 새로이 발견된 복음적 생활양식은 교회 안에서 새로운 수도 공동체로 발전되었다.
성인이 시작한 수도생활의 이 새로운 형태는 신앙적 기초 위에서
 세상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교회에 가져왔고,
당시 교회의 교계제도를 거부하면서가지 성행하던 청빈운동에 바른길을 제시하였다.
1224년 라베르나 산에서 관상하던 중 주님의 거룩한 오상을 받아 영적으로만이 아니라
 육신적으로 그리스도 처럼되었다.
1226년 10월 3일 아씨시에서 세상을 떠났다. 2 년 후인 1228년 교황 그레고리오 9세는
 그를 성인품에 올렸다. 유해는 성 프란치스코.대성전에 있다.
 
-작은형제회홈에서 www.ofm.or.kr-

아시시의 프란치스코는 복음을 글자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교회를 놀라게 하고
교회에 영감을 불어넣어 준 작고 가난한 사람이었다.
그는 복음을 옹색한 자의주의자(字意主義者)로서가 아니라
 예수께서 말씀하시고 행동하신 모든 것을 기쁘게,
아무런 제한이나 한 조각 자존심 따위로 없이 실천함으로써 모든 복음을 그대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젊은 프란치스코가 중병에 걸렸을 때 그는 자신의 경박한 생활이 허무함을 깨달았다.
기도는 힘든 일이었지만 그리스도께서 하신 것처럼
자신을 비우도록 프란치스코를 이끌어 갔고 결국 길에서 만난
 나병환자를 끌어안을 정도로 그를 변화시켰다.
이것이 결정적인 회개였다.

"프란치스코야, 네가 나의 뜻을 알고자 한다면 네가 육신 안에서 갈망하고
 사랑하던 모든 것을 미워하고 경멸하는 것이 너의 의무이다.
그리고 네가 이것을 시작했을 때 지금 너에게 달콤하고 사랑스럽게 보이던 모든 것이
 씁쓸하고 견딜 수 없는 것으로 될 것이다.
그러나 네가 피하던 것들 그 자체가 크나큰 감미로움과 넘치는 기쁨을 가져다 줄 것이다. "
버림받은 성 다미아노 성당에 있는 십자가에서 그리스도는 그에게 말씀하셨다.
"프란치스코야, 가서 나의 집을 지어라. 나의 집은 거의 다 무너져 가고 있다.
" 프란치스코는 철저하게 가난뱅이가 되었고 비천한 노동자가 되었다.

그는 "나의 집을 지어라."는 말의 깊은 뜻을 깨달아야만 했다.
그는 남은 생애를 허물어져 가는 성당의 벽돌을 한 장씩 쌓으면서
 "아무것도 아닌" 가난뱅이로 있는 것에 만족하게 되었다.
그는 자기 아버지-그는 프란치스코가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준 물건을
반환하라고 요구하고 있었다-앞에서 옷까지 벗어버림으로써 물질적인 모든 것을 포기하였으며
마침내 하느님을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라고 자유롭게 말할 수 있게 되었다.
한때는 그가 문전걸식하며 돌아다니자 옛 친구들은 그의 무모한 짓을 보고
 그를 미친 수도자 취급을 하였다. 그러나 진실은 드러나게 마련이다.
몇몇 사람들은 그가 참으로 그리스도인이 되고자 노력한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그는 참으로 "하느님 나라를 전하라. 너희 주머니에 금이나 은이나 동전도
 가지지 말며 여행 가방도 신도 지팡이도 가지고 다니지 말라."고 하신 예수님의 말씀을 믿었다.

그의 추종자들에 대한 프란치스코의 맨 처음 규칙은 복음의 구절들을 모은 것이었다.
그는 수도원을 세울 생각은 전혀 없었지만 일단 일을 시작하자 이 수도원을 옹호하고
 지원하는 데 필요한 모든 법적 절차를 받아들였다.
교회에 대한 그의 헌신과 충성은 절대적인 것이었으며 여러 가지 개혁 운동이
 교회의 일치를 저해하고 있던 당시에는 특히 모범적인 것이었다.

그는 기도에 완전히 헌신하는 생활과
 복음을 설교하는 활동적인 생활 모두를 병행하다가
 결국 복음 설교에 더 중점을 두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언제든지 할 수 있을 때는 고독한 기도 생활로 되돌아갔다.
그는 시리아와 아프리카에 선교사로 가기를 원했지만 파선과 질병으로 모두 좌절되었다.
그는 제4차 십자군 원정 중에 터키의 술탄을 회개시키려는 시도를 했었다.
비교적 짧았던(그는 44세에 세상을 떠남) 그의 말년에는 눈이 거의 멀고 심한 병까지 얻었다.
세상을 떠나기 2년 전에 그는 손과 발 그리고 옆구리에
그리스도의 고통스러운 상처를 실제로 느끼는 오상을 받았다.
 
임종 때에 그는 태양의 노래 마지막 부분을 말했다.
"오! 주님, 찬미 받으소서. 우리 누이인 죽음이 다가왔나이다."
그는 시편 142편을 노래하고 마지막에는
그의 장상에게 마지막 순간이 오면 자기의 옷을 벗겨서 주님을 본받아
 땅 위에 벌거벗은 채로 누워 운명할 수 있게 해달라고 부탁하였다.

-꼰벤뚜알프란치스코회 http://www.ofmconv.or.kr/--


Madonna Enthroned with the Child, St Francis and four Angels-CIMABUE
1278-80.Fresco, 320 x 340 cm.Lower Church, San Francesco, Assisi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꼬의 「모든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성 프란치스꼬의 소품집, 분도출판자, pp. 107-113)
우리는 단순하고 겸손하고 순수해야 합니다.

하늘에 계신 지극히 높으신 아버지께서는 당신의 이 지당하고 거룩하고 영광스러운 말씀이,
거룩하고 영광스러운 동정마리아의 태중에서 우리와 같은 인간성과 약점을 지닌다.


Vision of St Francis of Assisi-CARDUCHO, Vicente
1631.Oil on canvas, 246 x 173 cm.Museum of Fine Arts, Budap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