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눔♡공간 ▒▒ /∞·유익♡情報

[유익정보] 재물이 없어도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무재칠시 (無財七施)

Berardus 2019. 9. 15. 05:55


[유익정보] 재물이 없어도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무재칠시 (無財七施)

    " 예수님깨서 빵을 손에 들고 감사를 드리신 다음 나누어 주셨다.

    -요한 6.1-15-

    우리 주님이신 예수님께서는 보리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오천 명을 먹이시는 기적(요한복음서)을 행하실 때 제자들의 걱정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너희가 직접 먹을 것을 주어라.’ 하시며 지금 당장 가진 것을 나누도록 말씀하셨다. 예수님과 열 두 제자가 먹기에도 부족한 음식이었지만 예수님께서는 그것을 나눌 수 있다고 여기신 반면 제자들은 나눌 수 있는 마음의 여유가 없어 그런 생각조차 하지 못했던 것이다. 불교에서는 “무재칠시(無財七施)”, 즉 재물이 없어도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가 누구에게나 있다는 가르침이 있다. ○화안시(和顔施) - 부드럽고 편안한 눈빛으로 사람을 대하는 것 ○화안열색시(和顔悅色施) - 자비롭고 미소 띤 얼굴로 사람들을 대하는 것 ○언사시(言辭施) - 공손하고 아름다운 말로 사람을 대하는 것 ○신시(身施) - 내 몸을 수고롭게 하여 남을 돕는 것 ○심시(心施) - 착하고 어진 마음을 가지고 사람들을 대하는 것 ○상좌시(床座施) - 다른 사람에게 기쁜 마음으로 자리를 양보하는 것 ○방사시(房舍施) - 잠자리가 없는 사람에게 방을 내어주고 친절히 대하는 것 진정으로 우리가 신앙의 진리를 따라 남에게 베풀고자 하는 마음과 생각만 있다면 나눌 수 있는 게 적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신앙의 여정 중 귀한 ‘회개와 보속의 사순시기’를 보내고 무엇보다 얼마나 나눔을 실천하며 살아 왔는지 반성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이런 글귀가 생각난다. “사람이 일생을 마친 뒤에 남는 것은 모은 것이 아니라 뿌린 것이다.” ●無財七施(무재칠시) ○無(없을 무):人(사람 인)+(장작더미 상형)+火(불 화)의 상형자(象形字)이다. ○財(재물 재):貝(조개·돈 패)+才(바탕 재)의 형성자(形聲字)이다. ○七(일곱 칠):十(열 십)의 중간 획을 구부려 일곱을 나타낸 지사자(指事字)이다. ○施(베풀 시):(깃발 언)+也(어조사 야)의 회의자(會意字)이다.

    ********************************************************************
    불교의 《잡보장경》 권6에 의하면, “일곱 가지 보시가 있으니 재물을 덜어내지 않고도 큰 과보를 얻는다 [佛說 有七種施 不損財物 獲得果報]”고 이르고 있는데, 그 일곱 보시(七施)와 그에 따르는 七果는 다음과 같다. ① 안시(眼施) 누구에게나 따뜻한 눈길을 주는 것으로, 다음 생에 천안(天眼)을 얻고 마침내 불안(佛眼)을 얻는다. ② 화안열색시(和顔悅色施) 누구에게나 환한 얼굴과 즐거운 낯빛으로 찌푸리지 않는 것이니, 미래에 부처가 되어 순금색의 몸을 얻는다. ③ 언사시(言辭施) 누구에게나 부드럽고 다정한 말을 하는 것이니, 미래에 부처님의 변재를 얻는다. ④ 신시(身施) 누구에게나 일어나 맞이하여 예배하듯 공경함이니, 미래에 부처가 되어 그 정수리를 보는 이가 없이 공경을 받는다. ⑤ 심시(心施) 착한 마음으로 누구에게나 정성껏 대함이니, 미래에 부처가 되어 일체종지(一切種智)를 얻는다. ⑥ 상좌시(床座施) 누구에게나 자리를 마련하여 앉을 수 있게 하며, 자기 자리라도 양보하면 미래에 부처가 되어 사자법좌(獅子法座)를 얻는다. ⑦ 방사시(房舍施) 부모·스승·사문·바라문 누구에게나 집안에서 편히 쉴 수 있게 배려함이니, 미래에 부처가 되어 온갖 선옥택(禪屋宅)을 얻는다.


    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