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교리]
개별 심판 (「가톨릭 교회 교리서」 1020~1022항)
심판의 기준은 ‘본성’이다
하느님을 아버지라 믿을 때 하느님 본성에 참여할 수 있어
믿음으로 변하는 본성에 따라
살 곳이 정해지는 것이 ‘심판’
콩나물 하나를 다듬더라도
그 다듬는 ‘기준’이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인간을 심판하실 때도 반드시
그 ‘기준’이 있을 것이고 심판의 공정성을 위해
그 기준을 바꾸지 않으십니다.
따라서 개별적인 죽음 뒤에 받는
‘개별 심판’(사심판) 때의 결정이나,
마지막 때 전체적으로 받는
‘최후의 심판’(공심판) 때의 결정이 다를 수 없습니다.
개별 심판 때 천국이면 최후의 심판 때도 천국입니다.
다만 최후의 심판 때는
부활한 육체를 지니고 심판을 받는다는 것만 다릅니다.
사심판은 천국, 연옥, 지옥으로 결정되고
공심판 후에는 천국과 지옥 둘만 남습니다.
교리서는 심판의 기준에 대해
“각자가 죽은 뒤 곧바로 자신의 행실과
믿음에 따라 대가를 치르게 된다”(1021)라고 가르칩니다.
그러니까 ‘행실과 믿음’이 심판 기준입니다.
그런데 바리사이들과 율법학자들은
행실은 있었으나 믿음은 없었습니다.
사실 행실보다 더 중요한 심판 기준은 ‘믿음’입니다.
바오로 사도는 믿음을 잊고
행위로 의로워지려는 노력을 경계하며
“율법에 따른 행위에 의지하는 자들은
다 저주 아래 있습니다”(갈라 3,10)라고 말하였습니다.
또한 “믿음에서 우러나오지 않는 행위는 다 죄입니다”
(로마 14,23)라고도 말합니다.
▲독일 밤베르크 주립도서관 소장 ‘모든 인간들의 심판관’.
우리는 하느님 자녀임을 믿을 때 비로소
하느님 사랑의 본성에 참여하게 된다.
믿음으로 본성이 변하면,
그 본성대로 살 곳이 정해지는 것이 ‘심판’이다.
가톨릭교회에서 받아들인
오랜 명제는 “행위는 존재를 따른다”
(Agere sequitur esse)는 것입니다.
그리고 존재를 결정짓는 것은 행위가 아니라 ‘믿음’입니다.
행위는 흉내낼 수 있지만 믿음은 본성을 결정짓습니다.
믿음이 있어야 자신이 누구인지 알고
그것에 맞는 행위가 뒤를 따릅니다.
여기서 말하는 믿음이란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믿음입니다.
아버지를 사람으로 믿으면 자신도 사람이라는 믿음이 생기고,
아버지를 하느님으로 믿으면 자신의 본성도
하느님이란 믿음이 생깁니다.
그리고 그 믿는 본성대로 행위가 나오게 됩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하느님 자녀라는
믿음을 주러 세상에 오셨습니다.
1920년 어느 날,
인도에서 늑대에게 자란 두 여자아이
아말라와 카말라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아이들은 인간에게 발견되어
인간의 생활 방식을 강요받았습니다.
그 스트레스로 동생은 1년 뒤,
언니는 10년 뒤 사망하였습니다.
자신이 늑대라고 믿는데 사람의 행위를 강요하니
얼마나 그 스트레스가 컸을까요?
믿음을 먼저 바꿔주지 않고
행동만 바꾸려고 했기 때문에
그 스트레스를 이길 수 없었던 것입니다.
만약 이들의 믿음이
바뀔 수 없음을 알았다면
그 아이들을 늑대와 살게
하는 편이 더 나았을 것입니다.
같은 본성을 가진 것들 속에서 사는 게
제일 행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심판은 겉모양이 아니라 자신이 무엇이라
믿느냐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더 유익합니다.
같은 본성을 지닌 것들과 함께 사는 것이 더 행복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이 하느님 나라에 살려면
하느님 나라에 합당한 믿음을 지녀야 합니다.
자신이 사람이라고만 믿고
사람처럼만 살려고 한다면
그 사람은 하느님 나라에 살 수 없을 것입니다.
사람은 피조물이고 피조물은
자신의 생존을 우선으로 행동합니다.
모든 피조물은 본성상 자신의 생존을
희생하는 사랑을 할 수 없습니다.
오직 생명의 주인이신 하느님만이 본성상
생명을 내어주는 사랑을 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는 물과 성령으로 새로 태어나 하느님을
“아빠, 아버지!”(로마 8,15)라
부를 수 있는 믿음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 믿음이 나의 본성을 하느님 자녀로 만들어
하느님 자녀의 행동이 나오게 만듭니다.
하느님의 본성은 ‘사랑’입니다.
자신을 하느님 자녀라 믿으면
사랑하지 않고는 배기지 못합니다.
구약의 십계명도 하느님 사랑, 이웃 사랑을 말하고
새로운 계명도 그리스도처럼 이웃을 사랑하라는 것입니다.
이에 십자가의 성 요한은 “우리의 삶이 저물었을 때
우리는 사랑에 대하여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라고 말합니다.
하느님을 아빠, 아버지라 믿으면
그 자녀의 본성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할 수 없습니다.
아기가 부모를 찾으면 부모처럼
두 발로 걸으려고 하는 걸음마를 멈출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원숭이가
인간 흉내를 낸다고 해서
인간이 되지는 않습니다.
본성은 노력으로 변하지 않습니다.
본성은 태어날 때 받습니다.
아말라, 카말라도 자신들의 본성이
늑대가 아니고 인간임을 믿게 되었다면
인간으로 살 수 있었을 것입니다.
우리도 하느님 자녀임을 믿을 때야만
비로소 하느님 사랑의 본성에 참여하게 됩니다.
믿음으로 변하는 것이 ‘본성’이고
그 본성대로 살 곳이 정해지는데, 이것이 ‘심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