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교구 / 단내성지
이천시 호법면 단천리에 위치한 단내 성지는
1866년 병인박해 당시 광주 유수부인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정은 바오로(鄭溵, 1804-1866년)와
그의 재종손인 정양묵 베드로(鄭亮默, 1820-1866년)의
고향이자 유해가 묻혀 있는 곳이다.
앞에 단천이 흐르고 뒤에 숲이 울창한 와룡산이 감싸고 있는
단내 성지는 한국 교회사에서 처음으로
성직자를 조선 땅에 영입한 주역 가운데 하나인
순교복자 윤유일 바오로(尹有一, 1760-1795년)의 묘가 있는
어농 성지와도 지척이다.
단천리는 또한 한국에 교회가 세워지던 1784년 이전부터
천주교가 들어와 있었던 유서 깊은 교우촌이기도 하다.
영동 고속도로 덕평 나들목에서 나와
양 옆으로 시골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논밭 사이의 도로를 따라
7km 정도 달리면 왼편 와룡산 정상 위에서 두 팔 벌려
순례객들을 맞이하고 있는 대형 예수성심상을 만나게 된다.
주차장에서 숲길을 따라 조금 들어가면 탁 트인 성가정 광장과
붉은 빛의 아름다운 성당이 한 눈에 들어온다.
광장 한편에 성가정상과
이천 지역에서 태어나거나 체포되어 순교한 5위 성인
순교비(五位聖人殉敎碑)가 자리하고 있고,
그 옆으로 계단을 오르면 말끔하게 단장된 순교자
정은 바오로와 정양묵 베드로의 묘소가 나온다.
묘역 주위에는 유난히 푸른빛을 띠고 있는 소나무들이 우거져 있어
마치 순교자의 굽히지 않는 신앙을 증언해 주고 있는 듯하다.
단내 성지가 이렇듯 말끔하게 모습을 갖춘 것은
1987년 9월 15일, 이천 지역 출신의 순교자들을 기리기 위해 발족한
‘이천 성지 개발위원회’가 수원 교구장 김남수 주교를 모시고
윤유일 순교자와 그 일가족을 기념하기 위한 어농 사적지와 함께
이곳 단내 사적지를 축성하면서 본격화되었다.
동래 정씨로 그 조부 시절부터
실학사상의 영향을 받아 일찍이 서학(西學)을 접했던 정은 바오로의
집안은 이미 그가 태어나기도 전에 사촌형인
정섭과 정옥이 신앙을 갖고 있었으며 순교의 모범을 보여 준 바 있다.
신유박해가 지나간 3년 후인 1
804년에 태어난 정은 바오로 역시 천주교에 입교했고,
그의 어머니 허 데레사와 부인 홍 마리아 역시 입교하였다.
그들이 살던 단내 마을(단천리) 맞은편의
‘동산 밑 마을’(동산리)은 103위 한국 순교 성인 중 한 명인
이문우 요한(李文祐, 1809-1840년)의 고향이기도 하다.
1866년 병인박해의 회오리는 이 마을에도 휘몰아쳤고,
포졸들은 정은 바오로를 붙잡기 위해 매봉에 숨어 망을 보았다.
당시 63세의 노인이었던 그는 추운 겨울날 낮이면
마을 뒷산 ‘검은 바위’ 밑 굴속에 숨어 있다가
밤이면 내려와 잠을 자고 또 올라갔다.
그러나 결국 그는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남한산성까지 가파른 산길로 끌려갔다.
이때 그의 형님의 손자인 정양묵 베드로가
작은 할아버지께서 병드신 몸으로 홀로 잡혀가신다는 소식을 듣고
그 곁을 지켜드리고자 자진하여 천주교 신자임을 고백하고 함께 잡혀갔다.
한 달여를 남한산성에 갇혀 배교를 강요당했으나
이에 굴하지 않은 두 사람은 그 해 12월 8일(음력)
얼굴에 물을 뿌리고 그 위에 백지를 덮어 숨이 막히게 해 죽이는
백지사형(白紙死刑)으로 순교의 영광을 얻었다.
그들이 순교한 뒤 시체는 남한산성 동문 밖으로 시구문을 통해 던져졌는데
가족들이 몰래 정은 바오로의 시신을 찾아 이곳에 안장했다.
그러나 정양묵 베드로는 당시 함께 순교한 수많은 시신들 틈에 섞여
미처 찾아오지 못했다. 끝까지 작은 할아버지 곁을 지키다 순교한
정양묵 베드로의 뜻을 기억하고자 2000년 4월 11일
남한산성 동문 밖의 흙 한 줌을 가져와 할아버지 묘 옆에 가묘를 만들어 모셨다.

수원교구는 1998년 4월 26일
순교자 광장에 4m 높이의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성상을 안치하여 제막식을 가졌고,
5월 31일에는 십자가의 길 14처와
청소년 캠프장을 새롭게 단장하여 축복식을 가졌다.
이어 2003년 7월 12일 지상 1층에
3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성당을 건립하여 봉헌했고,
그 해 10월 9일 5위 성인 순교비를
5m 높이의 화강석으로 제작하여 제막식을 가졌다.
또한 단체 순례객을 위한 영성관을 마련하여
가정 성화를 위해 순례하는 성가정 성지로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성지 사무실 및 사제관과 소성당 앞 광장에
십자가 화단을 조성하고 그 앞에 야외제대와
성모상, 성 요셉상 등을 설치하였다.
또한 와룡산 정상에 설치된
예수성심상 앞에 서면
이문우 성인의 고향인 동산리와
성 김대건 신부의 사목 활동 경로를 조망할 수 있다.
예수성심상에서 와룡산 계곡을 따라 20분 정도 올라가면
정은 바오로와 그 가족들이 박해를 피해
숨어 생활하며 기도했던 검은 바위가 있다.
수원교구는 이 검은 바위에 성모상을 세우고 묵주기도를 바치며
박해의 괴로움을 이겨냈던 그들의 신심을 본받고자 하였다.
검은 바위에서 와룡산 능선을 타고 30분 정도 가면
정은 바오로 순교자의 가족들이 가산을 몰수당하고
마을에서 쫓겨나 피난생활을 했던 굴바위가 나온다.
이곳에서는 굶주림과 추위와 두려움 속에서도
신앙과 가족에 대한 사랑으로 꿋꿋이 견뎌낸
선조들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